아이폰 가격 2천 달러 돌파? 전문가의 분석

아이폰 가격 2천 달러 돌파? 전문가의 분석

애플, 미중 관세로 400억 달러의 비용 직면

애플이 새로운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총 400억 달러에 달하는 추가 비용에 직면할 전망입니다. 분석가들에 따르면, 이로 인해 아이폰 가격이 최대 40% 인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수요와 판매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이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화권 시장에서 애플의 입지는 더욱 위태로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대대적인 관세 조치는 여러 기업들의 공급망을 흔들고 있습니다. 애플의 경우, 중국에 대한 54%의 관세와 베트남에 대한 46%의 관세가 심각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 세계 제품의 다수를 중국과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애플은 현재의 상황이 지속될 경우 관세 비용으로만 약 400억 달러를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보전하기 위해 아이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아이폰 가격, 최대 40% 인상 전망

시장 분석가들은 기술 기기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약 40%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799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16의 가격은 약 43% 인상되면 1,142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경우, 기존 최종 가격이 1,599달러인 제품이 최대 거의 2,3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는 판매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입니다. 특히, 가격 민감도가 높은 중저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이폰 가격 2천 달러 돌파? 전문가의 분석

생산지 이전도 해결책 되지 않아

애플이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으로 제품 생산을 이전한다고 해도 소비자 부담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제조된 아이폰의 가격이 약 3,5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중국 및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제품 가격의 몇 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게다가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발표하며 애플이 중화권 시장에서 마주할 어려움을 더 키웠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웨이와 같은 중국 현지 경쟁사들은 애플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는 애플이 보다 긴밀한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출처 : BUSINESSINSID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