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kTok 미국 지사, 중국 본사 영향력 강화 주장

TikTok 미국 지사, 중국 본사 영향력 강화 주장

TikTok 내 중국 지도부의 통제 강화, 미국 지사에 영향 미쳐

TikTok의 미국 지사 직원들 사이에서 중국 지도부의 통제 강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ByteDance라는 중국에 기반을 둔 모회사와 TikTok의 분리를 요구하는 미국 내 정치적 압력이 증가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최근 1년간 미국 임원의 잦은 이탈로 인해 중국 지도부의 영향력은 더욱 강해졌습니다.

미국 지사 리더십, 중국 인사로 대체

최근 미국 내 주요 임원들이 연이어 회사를 떠나며 이들의 자리를 중국 임원이 채우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블레이크 찬들리(Blake Chandlee)라는 미국 내 핵심 임원이 떠난 자리를 싱가포르 기반 ByteDance 직원인 리우 샤오빙(Liu Xiaobing)이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권력 구조 전환을 암시합니다. 특히 TikTok의 전자상거래 팀을 포함하여 중요한 전략적 부서에서도 중국 출신 임원들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TikTok 미국 지사, 중국 본사 영향력 강화 주장

미국 직원들, 의사결정의 목소리 줄어들어

TikTok에서 2022년부터 시작된 리더십 변화로 인해 미국 직원들은 회사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신들의 목소리가 줄어들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많은 팀 리더들이 ByteDance 인사로 대체되며, 상당수의 지도적 역할이 이제는 중국 국적의 임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인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결정들은 미국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직원들 사이의 불만도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지사, 불확실성과 피로감에 직면

TikTok이 미국의 배제 법안을 준수하기 위해 잠재적 매각 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이런 상황은 직원들에게 큰 불확실성을 안기고 있습니다. 리뷰 사이클 이후 직원들의 사기와 피로감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국계 리더십 구조의 영향력이 남아 있는 점도 업무 역학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중국어 능력이 없거나 초기부터 회사에서 일해오지 않았던 미국 직원들은 원활한 업무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내 TikTok 직원들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출처 : BUSINESSINSIDER.com